naver-site-verification: navera46137b5333d6fa68134af53ad3b4f41.html '창작의 위대함이란/인체' 카테고리의 글 목록 (5 Page) :: 니즈의 hobby room

상체근육

승모근과 삼각근은 각각 등 뒤쪽과 어깨를 전반적으로 덮는 근육이고 쇄골뼈와 날개뼈인 추상골에 붙어있습니다. 대흉근 역시 어깨뼈와 연결되어 있고 흉쇄유돌근과 승모근을 덮은 활경근에 의해서 근육이 근육으로 덮여있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남자들에게 붙이는 초콜릿 복근 이라는건 복직근과 그 근육을 받쳐주는 활배근, 전거근, 외복사근으로 상체의 배부분을

대부분 그리거나 설명할 수 있습니다.

 

오늘 말하고 싶은 부분은 상체의 근육 구조보다도 근육의 두깨에 대해서입니다.

위에서 보듯 근육 역시 수많은 굴곡과 두깨를 지니고 몸을 두르고 있기 때문에 만약 실사적인 인체를 그리거나 다른 

방법으로 표현할 시에 가장 중요하게 봐야 할 부분은 근육의 부피와 두께를 어떻게 표현하느냐입니다.

또 복직근을 표현할 때에도 사실 판 초콜릿 모양이 아니라 사람에 따라 제각기 다른 모양의 복직근을 가지고 있어서

단순히 직각과 직선만으로 근육을 표현해서는 안됀다는 것입니다.(그래서 어려운 것 같네요.)

 

맨 위에 나온 근육만 참고해서 그려도 운동하는 사람들의 일반적인 근육 표현은 무리 없이 할 수 있다고 봅니다.

거기서 마른 체형인지 쪄서 근육이 안 보이는 체형인지 어깨가 유난히 넓은지 운동을 지나치게 해서 핏줄이 돋을 정도로 근육이 섬세하게 솟아 있는지는 많은 자료와 사진을 봐야 하겠지만 공통적인 구조를 알고 있다면 어떻게 그려도 무리 없이 표현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바쁜 도시인과 현대인에게 있어서 가장 보편적인 증상은 사실 비만보다도 근육 비만이 더 많다는 사실에 있습니다.

근육 비만은 내장비만과 다르게 겉으로 보기에 살이 쪄보이거나 두리뭉실한 체형과 몸무게를 가지고 있지 않으며

단순히 생각해 봤을 때 안 먹고 움직이지 않아서 근육이 본래의 형태를 잃고 굴곡이 사라지는 증상과 흡사합니다. 

(근육 비만이 의학적으로 나온 증상의 범주인지 일반인들 사이에서 유행하는 표현인지에 대해서는 정확한 지식은 없지만 그래도 외적인 부분에서의 차이점은 인지하는 것이 좋다 생각합니다.)

근육 비만은 지방이 몸에 쌓여서 체형이 변한다기보다는 운동을 해서 생기는 육감적이고 역동적인 근육의 선에서 단순히 일직선과 평범한 곡선만으로 이뤄지는 근육의 종류로 잘 먹고 매일 걷거나 운동을 조금씩 해주기만 한다면 예방할 수 있는 비만이라 생각하지만 사실 제대로 하는 운동이 재일 좋겠죠.

 

같은 몸무게에, 같은 체형이라 할지라도 활발한 움직임으로 활성산소가 들어간 근육과 움직이지 않아서 풀어져 있는 근육의 차이는 생각보다 외적으로 크게 차이가 납니다.(거리를 다니면서 사람들의 옷의 핏을 보다 보면 차이가 보이는데 많은 근육의 굴곡이 있는 사람과 단순한 직선 곡선으로만 이뤄진 체형 등 다양한 체형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다니면서 사람들을 관찰하는 타입은 절대 아닙니다.. 우연히 보다 보면 차이가 보인다는 겁니다 <-?)

이는 지방이 쌓이는 내장비만과는 상관이 없는 차이고 몸무게와 나이 성별에 상관없이 움직임과 활동의 정도만으로

나오는 근육의 상태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많이 걷고 많이 움직이는 습관을 평소에 가지는 것이 근육 비만의 예방에 재일

좋다고 생각합니다.

몸의 밸런스를 위해서는 팔과 다리의 근육만 키워주는 부분운동보다 몸 전체를 움직이는 유산소 운동이 우리몸에겐

재일 좋답니다.유산소 운동만으로 팔 다리근육까지 자동으로 조절되니까요.

 

'창작의 위대함이란 > 인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 뼈와 근육구조.  (0) 2019.06.03
다리 근육구조.  (0) 2019.05.29
인체 뼈구조와 골반뼈  (0) 2019.05.16
팔 뼈의 구조부터 손목 운동까지.  (0) 2019.05.14
인체의 황금비율 (숫자 등신)이란?  (1) 2019.05.12

인체의 뼈 구조는 알면 알수록, 배우면 배울수록 신기하고 신비롭게 설계되어 있습니다.

외부의 상처나 충격으로부터 마찰을 흡수하고 유연성을 더해주며 웬만큼 강한 충격이 아니면

몸의 내장을 효과적으로 보호해주는 뼈의 강도는 마치 과학적으로 맞물려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우리의 평소 습관과 자세, 혹은 유전적 요인으로 인해 뼈의 위치나 골격이 조금씩 이동하거나 변형되고

우리는 그것을 요가,스트레칭,기타 운동 등으로 골격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당장 이빨위치만 해도 나이가 들면서 조금씩 틀어지죠.)

 

인체에서 변형되기 쉬운 부위는 크게 어깨, 척추, 골반등이 있는데 전부 자세를 잡을 때 필수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부위이고 한 자세로 오래 있을 때 가장 부담이 많이 가는 곳입니다.

 

골반의 경우 그릴때는 큰 나비를 그린다고 생각하면 쉽게 그릴 수 있습니다. 위에 그려놓은 건 우연히 붙어버렸는데

꼬리뼈는 가운데 뚫린 골반뼈와 떨어진 뒷부분에 위치해 있고 나비 윗 날개에 해당하는 장골과

대전자, 대퇴골과 연결되어 있으며 우리가 윗 다리를 움직일 때 대퇴골의 뼈가 유연하게 골반의 연결 부분 안에서

움직이게 됩니다.

 

일부러 살짝 비틀린 골반을 그렸는데 우리가 오래 앉아있을때 취하는 다리꼬기를 시전 했을 때 뼈의 이동경로를 

예측해 봤습니다. 왼쪽 다리를 꼬게 되면 골반의 각도도 좌측 앞쪽으로 기울고 한쪽 대퇴골만 위로 향하기 때문에

엉덩이뼈 부분도 틀어집니다.

 

골반 자체보다도 앉은 자세에서 가장 큰 부담을 갖는 척추가 아래쪽 골반 양쪽의 균등한 위치 분배로

압력을 분산시켜서 척추의 부담을 조금이라도 줄여주는 건데 다리를 꼬게 되면 압력이 한쪽으로 쏠리겠죠?

이게 잠깐이거나 하루 이틀 정도라면 상관이 없겠지만 1년, 10년 동안 계속해서 다리를 꼬게 된다면, 그것도 성인이 아닌

뼈가 자라는 청소년기 때부터 다리를 꼬는 습관을 들이게 된다면 이후 건강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저도 수험기간 동안 다리를 꼬다가 도중에 습관을 없앴습니다.)

 

골반이 틀어지면 여성의 경우 생리통증이 심해지고 어릴 때 꼬게 되면 다리 모양도 휘어집니다.

남녀 불문하고 피로감이 서서히 조금씩 쉽게 느껴질 수 있고 오래 한 자세로 서있을 때 은근히 피곤해집니다.

다리를 꼬아야 앉은 자세로 안정적으로 편하게 있을 수 있다는 생각도 그저 습관에서 온 느낌일 뿐 건강에는

좋지 않으니 혹시 아직도 다리를 꼬고 계신 분이 있다면 풀은 자세로 있는 습관을 만드는 게 어떨까요?

일단 초반에 풀게 되면 이루 말할 수 없이 다리가 근질거립니다.(경험에서 온 노하우)

당장이라도 꼬고 싶어서 무의식적으로 다리를 들었다 놓았다를 반복하는데 그 고비를 넘기기만 하면

어느새 근질거리고 불편했던 다리가 얌전해집니다.(?)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골반운동법도 익혀두고 집에서 틈틈이 해주는 것도 좋겠죠.

제가 알고 있는 방법은 의자에서 한쪽 다리를 반대쪽 허벅지 위에 놓고 그대로 천천히 숙여주면서 풀어주는 방법인데

가끔 다리 쪽에서 소리가 나면서 풀어진답니다.(골반 스트레칭에도 좋다고 합니다.)

바닥에 앉아서 하는 스트레칭도 좋다고 하니 해두시면 좋을 듯싶습니다.

서있는 자세로 에어로빅을 하듯 팔을 반대쪽 발목까지 쭉 피고 허리를 굽혀줍니다.(이건 윗 다리뼈랑 골반에서 소리가 납니다.. 제 경우에는요.) 

 

물론 바른 자세로 해도 오래 앉아있게 되면 당연히 허리랑 다리가 불편함을 느끼게 되니 자주 일어나 주거나 스트레칭을 해주는 게 최선인 것 같습니다.

뼈를 볼 때마다 괜히 몸에게 미안해지는 기분이란...

오랜 시간 앉아서 일하는 사무직의 경우 가장 혹사당하는 신체의 일부는 과연 어느 부분일까요?

(사실... 다 아프죠;) 바로 허리와 어깨, 팔 정도가 아닐까 싶은데요.

특히 손에 힘을 주고 하는 일이나 긴 시간 마우스를 잡아야 하는 경우 무리해서 작업을 하면

손목 경직에 관절 부분이 뻐근하게 저리고 갑자기 근육을 풀어줬을 때 들리는 소리나 근육 당김 등등

아픈 부분이 한두가지가 아니게 되죠.

 

이번엔 팔 뼈의 구조를 알아보고 그로 인해 장시간 한 자 세로 있을 때 팔이 왜 아픈지에 대해서 근본적인 원인도 간단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팔길이를 성인 기준으로 그려야 하는데 어린아이 사이즈로 그려버렸네..)

오른팔을 손바닥이 앞으로 보이게 폈을 때의 팔 뼈 구조입니다.

간단히 설명해서 윗팔뼈는 쇄골과 날개뼈와 연결되어 있고 아랫 팔뼈는 얇은 뼈 두 개가 붙어있죠.

물론 팔의 모든 근육은 이 뼈와 연결되고 붙어있기 때문에 뼈가 움직이는 대로 근육도 같이 움직입니다.

테이블에 앉아서 손바닥을 위로 두고 팔을 편하게 두었을때, 두 팔뼈는 11자 형태로 나란히 놓여있게 되고 이때는

근육에도 별 부담감은 없습니다.

 

팔의 구조.

(참고는 왼팔뼈지만 양쪽 다 마찬가지입니다.)

그럼 손바닥을 아래로 두고 양손을 펴서 둔다고 가정해 봅시다.

제1중 수골, 대 능형골. 즉 아랫 팔뼈 두 개가 X자로 교차되는 모양으로 변합니다.

물론 근육도 11자때와는 달리 교차되고 서로 얽히겠죠.(근육 공부는 다음 시간에..)

사실 팔을 안쪽 바깥쪽으로 마구 돌린다고 해서 뼈나 근육에 부담이 가는 것은 아닙니다.

어디까지나 한 자세로 오래 있을 때 좋지 않은 것이죠.

 

(갸아악)

저 역시 오랜 시간 한 자세로 일하거나 그림을 그릴 때도 최소 5~6시간 정도를 그리고는 했는데 그때마다 손목 부분이

굉장히 아팠고 근육이 풀릴 때까진 꾀 오랜 시간이 걸렸던 것 같습니다.

(그려서 일하는 분들의 대부분이 손목밴드를 착용하는 이유가 괜히 있는 게 아니더군요... 정말 치명적입니다)

 

 

손목을 돌리거나 털듯이 풀어주는 것도 물론 좋은 스트레칭이지만 위의 설명처럼 뼈에 대해서 이해하셨다면

X자와 11자를 반복해서 바꿔주고 풀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가 일을 할 때는 보통 손등을 위로 가게 하고 일을 하죠.

팔뼈가 X로 교차되는 모양으로 굉장히 오래 있습니다.

 

실제로 정형외과 의사가 추천해준 스트레칭법입니다..뉴스에서 봤어요.

저는 손목이 아플 때 주로 이렇게 합니다.

손바닥을 위로 두고 다른 손으로 손목의 양 부분을 꾹꾹 눌러주고 마사지해줍니다.

제1 중추 골, 대 능형골의 끝부분을 손으로 눌러주는 겁니다.

주무르지 않고 손끝으로 두 뼈를 눌러주기만 해도 시원합니다.

다음 손등이 위로 오게 하고 같은 방법으로 마사지해줍니다.

뼈뿐만 아니라 근육도 같이 풀어주기 때문에 좋을 수밖에 없겠죠?

손목 끝부분부터 시작해서 팔 중간 부분까지 해주면 시원하고 무척 간단합니다.

 

해부학을 과거에 공부해놔서 그런지 스트레칭법에 대해 가끔 듣게 되면 안쪽의 뼈까지 생각하면서

운동하게 되더라고요ㅋㅋ

우리의 몸인 만큼 많이 알아두고 소중히 대해준다면 당연히 좋겠죠.

하지만.. 아무리 알고 있다 하더라도 바쁜 일상에서 일에 치이고 시간에 치이다 보면 얼마 못 가서

몸을 막 다루게 되는 것 같습니다ㅠ

작은 스트레칭이라도 우리 몸을 위해서 생각날 때마다 해줍시다~

 

 

 

 

그림으로 현실의 모든 것을 배우는 실사화 time입니다.

그림으로 공부하다 보면 저 자신도 실력이 늘 것 같아서 일석이조로 좋을 것 같습니다.(미술 전공잔데도 복습 안 해서 다 잊었어요ㅠㅠ)

 

이번 첫 글에는 인체의 황금비율이라고 하는 등신에 대해서 알아볼 건데요-

사람을 보다 보면 비율이 무척 좋은 사람이 있고 그저그런 사람. 굉장히 슬픈 사람(?) 등등 다양한 비율의

신체를 가진 사람들이 대부분이고 이 좋은 사례를 나누는 기준이 무엇인지 명확히 알고 짚으면

재미있을 것 같네요.

 

어떤 인체 책을 보더라도 동, 서양인의 구분 없이 좋은 비율과 비례를 그리는 법, 혹은 알아보는 법이

나오는데 먼저 인체의 등신을 나누는 기준은 의외로 간단합니다.

먼저 등신을 나누는 길이는 정면 기준 머리 정수리부터 턱까지의 길이를 1등신으로 정합니다. 

그리고 머리의 길이만큼 턱부터 그 길이를 똑같이 잽니다.

끝이 되는 길이부터 똑같이 길이를 재는 식으로 반복해서 발의 뒤꿈치 길이까지 총 몇 번의 길이가 나오는지

재고 그 개수만큼 등신의 숫자가 나오는 겁니다.

 

일반인의 가장 적당한 등신의 기준은 7.5등신으로 나옵니다.(그러나 우리 모두는 8등신이 되기를 원하죠.)

이 등신의 요건만 충족하게 되면 키랑은 전혀 상관없이 좋은 비율의 신체인 것입니다.

여기서 한 가지 더 우월한 신체조건 중 중요한 것 두 가지가 있는데 위의 그림처럼 팔꿈치가 포함된

팔의 관절은 그 위치가 3등신 부분을 넘지 않고 3등신의 반 정도 위치에 있으면 좋은 비율입니다.

또 무릎이 있는 관절 부분은 윗 다리뼈를 포함해서 아래 다리뼈보다 길이가 살짝 짧아야 합니다.

만약 윗 다리뼈의 길이가 아래보다 길면 아무리 등신 비율이 좋아도 외관상 어딘가 보기 좋지 않거나

위화감이 듭니다.

 

이게 중요한 이유는 의외로 많은 그림쟁이 분들이나 전공자분들이 이 사실을 인지하지 않고 무의식적으로만

그린다는 건데 저 역시 이걸 배웠을 때 엄청나게 충격이었습니다;;등신의 비율이 아무리 좋아도 관절 비율이 안 좋으면

여전히 짧고 답답해 보이는 비율이 되기 때문입니다. 

 

뭐.. 관절 비율은 여기서 말하는 신체비율과는 살짝 동떨어진 부분이고 결론적으로 모든 비율의 절대기준은 바로 머리 크기이기 때문에 선천적으로 머리가 큰 분들은 등신 비율이 적게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머리가 작아야 미남미녀로서 인정받는 결정적 이유인 것이죠.

또 머리 둘레가 긴 만큼 상대적으로 어깨는 좁아 보이기 때문에 창작을 하는 모든 분들의 경우 귀여운 SD캐릭터가 아닌 이상은 캐릭터의 머리를 적절히 작게 맞추어 그리는 것이 일반적입니다.(개성을 생각해서 다른 비율로 그리는 분들조차도 주인공의 비율은 신경 써서 그린답니다.)

 

대표적인 예로 언밸런싱한 비율과 완벽 비율의 사례를 보자면..

 

퍼스트 어벤져중..

 

개조당한 크리스 에반스

(*아래 사진이 크리스 에반스의 원래 비율입니다)

이 장면은 차이가 좀 극단적이어서 근육의 밸런스까지 완전히 바뀌어 있는데 영화를 보다 보면 비율의 차이를

분명하게 준 모습입니다(CG의 힘이란..)

 

그럼 우리가 일상에서 자신의 신체 등신이 궁금한 분들이 길이를 잴 방법을 간단히 알려드리자면

 

 

실내나 야외에서 전신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찍습니다.

거울이 기울어져있으면 안 좋습니다.직각으로 서 있는 거울을 사용합니다.(왜곡거울도 비추입니다.)

 

거울에서 너무 가까이 가서 찍거나 등신을 재는 것은 안좋습니다.

길이를 재는 우리의 눈은 상체의 맨 위에 있기 때문에 각도상 투시가 들어간 인체를 볼 수밖에 없습니다.

적당히 떨어져서 사진을 찍어줍니다.

 

반듯하게 서있는 모습을 찍은 사진으로 머리 길이를 재고 위의 방법처럼 비례 개수를 재줍니다. 

저도 해봤는데 몇 등신으로 나왔는지는 비밀로 하겠습니다ㅠㅠㅠ크흡ㅠ

 

여기까지 간단히 알아본 인체의 황금비율과 비율을 재는 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인체 드로잉에 대한 수준이 이젠 너무 높아져서 이런 글을 올리지 않아도 될 만큼 잘 그리는 분들이 많아졌지만

그리면서 묘하게 드는 위화감과 어색함을 캐치하는 눈을 키우는 것이 잘 그리는 것보다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적으로도 그런 부조화를 없애기 위해 좀 더 노력해야겠어요.

또 관찰력도 동시에 늘기 때문에 공부해두면 나쁜 점이 없을 것 같습니다ㅎㅎ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