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site-verification: navera46137b5333d6fa68134af53ad3b4f41.html '미장센 연출' 태그의 글 목록 :: 니즈의 hobby room

그림으로 배우는 영상에서는 우리가 자주 접하는 애니메이션과 영화등에서 배울 수 있는 거의 모든 연출과 영상기획에 필요한 주요 용어와 기획과 준비과정의 이미지등을 보며 영상을 이루는 기본적인 요소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참고용 이미지의 대부분은 쥬라기공원1 메이킹 필름으로 20년전 외국에서 구입한 원서입니다.

 

쥬라기공원 스토리보드

영상을 만드는 모든 사람들은 전부 창작자인 감독인데 주요 업무중 하나는 바로 사전 제작 단계에서 영화에 대한 시각화 작업을 구상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미장센(mise en scène)이란 하나의 쇼트를 구성할 때 배우를 포함해서 인물과 소품이 카메라의 프레임 안에 들어오는 것을 전제로 이 화면 안에서 어떤 방식으로 배치해야 하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스토리보드에 장면을 스케치 한다고 해도 그중에 대안책을 세우는 참고 이미지일뿐 최종 결정사항은 감독의 몫으로 미장센의 분석이란 세팅과 인물들의 움직임 과정과 시각적 요소들을 어떤 이유에서,어떤 의도로 이용하는지 고민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스토리보드와 미장센으로 만화와 영화라는 매체가 어떤 방식으로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고 방식의 개성에 따라 연출가의 의도를 파악할 수도 있습니다.

 

미장센의 구성 요소로는 세팅,의상,이미지분장,인물의 표현과 움직임,조명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애니메이션의 경우엔 카메라의 움직임과 인물 움직임,각도,동작변화,조명,시퀀스의 시작과 끝맺음등 화면 자체를 창작하는 매체로서 거의 모든 것을 전부 신경써야 하는 어려운 분야입니다.(그중 조명과 그에 비치는 인물과 세팅의 표현은 감독의 역량을 그대로 보여주는 어렵고 중요한 요소입니다.)

 

미장센과 세팅

영화의 경우엔 PD나 디자이너가 촬영장소를 물색하고 세트를 설계합니다.

촬영공간을 설정하면서 경제적,기술적,연출 의도등 여러가지를 고려해서 효율적으로 세팅,관객에게 연출의 의도와 의미를 전달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전쟁영화를 위해선 전쟁당시의 시대배경을, 중-근대에는 막 들어온 서구 문물과 전차,근대식 의상,건물등을 생각해야 하고 실존했던 역사를 재현하는 것과 반대로 몽환적 느낌이 들기 위해선 화면의 색감과 분위기에 초점을,공포영화의 경우 어둡고 암울한 느낌을 어떤게 살렸냐가 관건이듯이 모든 요소들이 분위기,인물 유형들,네러티브의 전개에 대해 어느정도 암시해 주는 것입니다.

인물의 심리상태와 처한 상황에 따라서 배경을 설정해주는 것도 중요한데 배경과 색감,조명,연출등이 작중의 배우상태와 더불어 그것을 보는 시청자들의 심리상태또한 좌지우지하기 때문에 고민을 가장 길게 해야하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미장센과 의상

의상은 영화를 표현하는 수많은 세팅의 일부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역사적 사실에 기반한 고증을 거친 의상과,거기에 시각적 즐거움을 더해서 관객에게 만족감을 주기 위해 추가하는 무늬와 색감의 개성을 더해줄 수 있습니다.인물의 심리상태에 따라 옷을 바꿔입힐 수도 있는데 사실 영화에서는 중요한 요소일지 몰라도 만화에서는 의상의 변화보다는 인물의 성격과 맞는 의상을 입히는 것이 오히려 중요하게 다가올 수 있습니다.의상은 어디까지나 도구일 뿐 인물을 표현하는데 있어서 최우선의 사항은 아니니까요.

 

미장센과 인물

영상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인물은 배우의 연기,성우의 연기를 통해 현실감과 생동감이 전해지고 움직임에 따라서 특정한 의미가 전달되기 때문에 작품에서 매우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위의 사진에서는 비슷한 DNA유지장치를 보는 연구원이자 각 장치를 여는법과 기구의 이미지를 컨셉아트로 그린 것인데 인물이 장치를 움직여야만 그것이 도구로서 가지는 의미와 사건진행에 도움을 주기 때문에 날림식으로 그리더라도 인물을 넣어주어야 하는 경우입니다.

한 프레임 내에서 인물의 같은 각도와 위치여도 분위기는 상이하게 다를 수 있는데 인물을 어깨높이로 클로즈 업 하고 역광이 지는 조명에 불안한 표정의 인물을 배치하고 화면은 고정한 채 소리에만 반응하는 인물의 움직임으로 사건 발단 이전의 긴장감을 고조시키는 미장센을 만들었습니다.

 

같은 클로즈업에 정면샷이나 조명은 연구실의 조명등을 인물의 측면으로만 비추고 배경의 조명은 낮게 깔아서 주인공들의 얼굴에 집중되는 조명처리를 했습니다.역시 화면은 고정해서 심각하게 무언가를 이야기하는 배우의 연기로 단순히 무언가를 설명하거나 이야기하는 상황이라는 추측을 어렵지 않게 할 수 있습니다.위아래 사진과 같이 배우의 움직임은 크지 않더라도 조명과 배경의 색감,배우의 연기와 세팅으로 완전히 다른 상황을 만들 수 있는것이 미장센이 가지는 모든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각 영화의 장르마다 시청자가 예상하고 기대하는 연출과 스크린이 있는데 쥬라기공원은 고생대 생물이 등장하는 SF장르라는 것을 생각하면 최첨단 생명공학 연구소와 그 생물을 기르는 울창한 정글이라는 이미지와 그 안에서 벌어지는 인물을 통해 스토리와 인물이 완벽한 조화를 이루고 스토리보드와 미장센 연구를 통해서 화면에 연출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각 장르와 영화의 분위기에 걸맞는 연출을 이루고 그것을 기획하는 미장센에 대한 설명은 계속 하겠지만 이번에 하게 된 인물의 배치는 결국 인물이 정면에 있거나 정면은 흐리게 페이드아웃 시키고 후면의 인물만 움직인다거나 대결시 두 인물의 거리감을 준다거나 하는 방식으로 인물들간의 심리적 거리감,관객이 집중하는 인물의 포커스등을 미장센에서 반드시 생각해야 한다는 것을 알려드리고자 했습니다.

 

+ Recent posts